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정부 셧다운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오바마케어와 함께 보는 쟁점

by makemebetter 2025. 10. 2.

미국 정부 셧다운

셧다운이 현실화되면, 미국 증시는 어떻게 반응할까?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증시의 향방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경한 발언과 민주당의 오바마케어 보조금 연장 요구가 맞물리며 협상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과연 셧다운은 증시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지,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셧다운의 정의와 미국 회계연도의 특징

미국에서 '셧다운(Shutdown)'은 정부 예산안이 기한 내에 통과되지 않아, 비필수 연방 정부 업무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미국의 회계연도는 10월 1일부터 다음 해 9월 30일까지로, 9월 말까지 12개 주요 예산안이 의회를 통과해야 정상 운영이 가능합니다.

예산이 확정되지 않으면, 국립공원, 박물관, 행정기관 등의 문이 닫히고 공무원들도 무급휴직에 들어가는 등 상당한 혼란이 발생합니다.


필수 서비스는 유지되지만… 직원들은 '무급 근무'

셧다운이 되어도 모든 정부 업무가 정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군사 작전, 사회보장 연금, 항공관제, 국경 관리 등은 계속 운영되지만, 해당 직원들은 예산 통과 전까지 급여를 받지 못합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셧다운을 통해 "우선순위에 부합하지 않는 업무는 아예 감축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단순한 업무 중단을 넘어선 인력 구조조정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vs 공화당, 핵심 쟁점은 '오바마케어 보조금'

이번 셧다운 협상의 핵심 쟁점 중 하나는 '오바마케어'입니다.

바이든 정부가 시행한 건강보험 보조금 제도가 올해 말 종료 예정이기에, 민주당은 이를 연장하기 위한 예산 확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반면, 공화당은 이 보조금 연장에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추정된 연장 예산은 약 300억 달러에 달합니다.

오바마케어가 사라질 경우, 보험료가 평균 75%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미국 저소득층에게는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과거 셧다운과 미국 증시의 상관관계

셧다운과 증시는 어떤 관계가 있었을까요?

1976년부터 2023년까지 총 7번의 연방정부 셧다운이 있었으며, 이 기간 동안 S&P500 지수는 중간값 기준 10.2% 하락했습니다. 가장 큰 낙폭은 2018~2019년 트럼프 행정부 당시 19.8%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주목할 점은, 셧다운 종료 후 1년이 지난 시점에서 S&P500은 평균 18.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는 점입니다.

셧다운 기간 하락률(S&P500) 1년 후 수익률

2013년 10월 -4.1% +17.5%
2018년 12월~2019년 1월 -19.8% +29.3%
1995년 12월 -3.7% +20.1%

이번 셧다운, 정말 현실화될까?

트럼프 측은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고, 민주당도 오바마케어 사수에 물러설 수 없는 상황입니다.

한 차례 회동으로 해결되기 어려운 국면이기에, 셧다운 가능성은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바이든 정부의 예산안과 공화당의 감축 요구가 평행선을 달리는 만큼, 극적인 협상 타결 없이는 셧다운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셧다운이 불러올 단기 시장 변동성

셧다운이 시작되면 투자 심리가 급격히 위축될 수 있습니다.

기관투자자와 개인 투자자 모두 정부 마비 상태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증시 하락은 거의 확실시됩니다.

하지만 과거 데이터를 보면, 장기적으론 회복세를 보이며 오히려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셧다운 이후, 투자자에게 남는 선택지는?

이번 사태를 기회로 볼 것인가, 위기로 볼 것인가는 투자자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시장에 대한 과도한 공포는 오히려 우량주 매수의 기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정치 불확실성이 높아진 지금은 분산 투자와 현금 비중 확보 등 방어적 전략이 함께 병행되어야 할 시점입니다.

전략 항목 셧다운 대응 방법

투자 비중 조절 현금 20~30% 보유
종목 선택 기준 안정적 배당, 소비재, 필수산업 위주
매수 시점 판단 증시 하락 5~10% 구간 접근
리스크 관리 손절 라인 사전 설정, 뉴스 지속 체크

결론: 셧다운은 위기이자 기회

셧다운이 현실화된다면 단기적인 시장 충격은 불가피할 것입니다.

그러나 과거 사례를 통해 본다면, 그것이 장기적으로는 반등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전략적인 접근이 중요합니다.

예산 협상의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투자자는 냉정한 시각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번 셧다운이 역사상 몇 번째 위기가 아닌, 새로운 투자 전환점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